[뉴스초점] 코로나 확산세 주춤…오미크론 연쇄 감염 본격화<br /><br /><br />지난 한 주 코로나19 확진 규모는 조금씩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지만 위중증과 사망자 지표로는 아직 이어지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의 강화된 거리두기는 남은 일주일 상황에 따라 연장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와 관련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신규확진자 수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겁니까? 먼저 코로나19 현 상황에 대한 진단부터 부탁드립니다.<br /><br /> 사적모임 규모를 4명으로 줄이고,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을 제한하는 등 강화된 거리두기 조치가 시행된 지 일주일이 지났는데,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신규확진자에 비해 위중증 환자나 사망자가 줄지 않는 배경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? 특히 위중증 환자 가운데 60세 이상 고령층이 80%를 넘었는데 언제쯤 이 추세가 꺾이리라 전망하십니까?<br /><br /> 강화된 거리두기가 다음 달 2일 끝나는 가운데, 정부는 이번 주 유행 상황을 보고 거리두기 연장 여부를 결정할 방침입니다. 어떤 결정이 내려져야 한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오미크론 변이의 빠른 확산세가 향후 유행의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이는 데 문제는 국내 오미크론 감염자들은 어쩌다 감염된 건지 그 감염경로가 파악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점 같아요?<br /><br />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되는 것을 완전히 막긴 어려울 것 같고, 지금 상황에서 최대한 변이의 전파 속도를 늦추는 게 중요해 보이는데 우리나라에서도 한두 달 정도 이내에 우세종이 될 수 있단 전망에 대해선 어떻게 보세요? 델타 변이의 경우엔 우세화 판단까지 89일이 소요됐었다면서요?<br /><br />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 고리를 끊기 위해선 신속한 검사가 필수적인데,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변이 등 5개 변이를 한 번에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PCR 시약을 30일부터 검사소에 도입하기로 했죠?<br /><br /> 정부는 조만간 먹는 코로나19 치료제의 구체적인 국내 도입 일정을 발표할 예정인데, 1월 말 사용도 가능하다고 보십니까? 화이자의 먹는 치료제 30만 명분 계약이 마무리 단계인 것으로 알려졌는데, 기존 머크사 물량을 더하면 54만 명 분량을 확보한 것으로 보여요? 하지만 유행이 이어지면 물량이 부족할 수밖에 없는 만큼 물량 확보가 중요하겠죠?<br /><br /> 독일, 영국 등에서 4차 접종을 검토하고 있고, 이스라엘은 일단 승인 보류 결정을 내렸는데요. 우리 방역당국도 이들 국가의 효과가 나타나면 검토에 들어가겠다고 밝혔죠. 도대체 몇 차까지 맞아야 방어력이 완성되는 것인지 의문이 높아지고 있어요? 전문가로서 어떤 말씀 주시겠습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